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3

MultipartFile의 POST 요청과 PUT 의 차이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과정에서 엄격한 차이를 알게 되었따POST 요청에서와 PUT 요청의 차이 PUT 요청 백엔드 @PutMapping("{menuId}") public ResponseEntity update( @Valid @PathVariable(name = "menuId")Long menuId, @RequestBody MenuUpdateDto menuUpdateDto, @RequestPart(value = "image", required = false) MultipartFile image ){ menuService.update(menuId,menuUpdateDto, image); return Resp.. 2024. 12. 20.
SpringBoot Redis 설정(Window) 1. Redis 설치를 진행해준다. ( 링크에서 msi 파일을 다운받아준다.)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releases Releases · microsoftarchive/redis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 persists on disk. The data model is key-value, but many different kind of values are supported: Strings, Lists, Sets, Sorted Sets, Hashes - microsoftarchive/redisgithub.com 2. 설치 후 파일 내부에 redis-cil.exe를 클릭해서 실행해준다. 3. 실행된 cmd에 접속해서 pi.. 2024. 12. 10.
정렬 정렬 알고리즘정의버블데이터의 인접 요소기리 비교하고, swap 연산을 수행하며 정렬하는 방식선택대상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데이터를 찾아가 선택을 반복하면서 정렬하는 방식삽입대상을 선택해 정렬된 영역에서 선택 데이터의 적잘한 위치를 잡아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방식퀵pivot 값을 선정해 해당 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병합이미 정렬된 부분 집합들을 효율적으로 병합해 전체를 정렬하는 방식기수데이터의 자릿수를 바탕으로 비교해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식 버블 정렬의 핵심이론인접한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해 정렬하는 방법시간 복잡도는 O(n2)으로 다른 정렬 알고리즘보다 속도가 느린 편루프 loop를 돌면서 인접한 데이터 간의 swap 연산으로 정렬버블 정렬 과정비교 연산이 필요한 루프 범위를 설정인접한 데이터 값을 비교.. 2024. 10. 3.
스택과 큐 스택삽입과 삭제 연산이 후입선출로 이루어지는 자료구조후입선출은 삽입과 삭제가 한쪽에서만 일어나는 특징스택에서 값을 빼낼 때 pop는 top이 가리키는 값을 스택에서 빼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장 마지막에 넣었던 값이 나옴스택 용어 위치top :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위치를 뜻함연산push : top 위치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는 연산pop : top 위치에 현재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확인하는 연산peek : top 위치에 현재 있는 데이터를 단순 확인하는 연산스택은 깊이 우선 탐색, 백트래킹 종류의 코딩테스트에 효과적 후입선출은 개념 자체가 재귀 함수 알고리즘 원리와 일맥상통 큐삽입과 삭제 연산이 선입선출로 이뤄지는 자료구조스택과 다르게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감, 삽입과 삭제가 양방향에서 이루어.. 2024. 10. 3.